|
||
3년 전 국내에서도 투자 광풍이 불며 `김치코인`이라는 별명까지 붙었던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는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보다 더 안정적인 자산이라는 재평가가 이뤄지면서 사상 최고가를 향하고 있다. 최근 마스터카드에 이어 비자카드 등 글로벌 대형 카드사들도 협력 손길을 내밀었지만 일각에서는 여전히 암호화폐 급등락 변동성이 크다는 경고도 나온다.
|
||
노보그라츠 CEO는 월가에서 헤지펀드 투자 거물로 꼽혔지만 암호화폐 투자사인 갤럭시디지털을 창업했다. 그는 앞서 18일 (이하 현지시간) 인터뷰에서 "내년 말 비트코인 시세가 5만5000달러에서 6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본다"면서 "비트코인은 안전자산인 금을 대체하고 있으며 현재 금의 3% 정도인 비트코인의 투자 비중이 조만간 10%까지 대체하게 될 것"이라고 내다봤다. 이어 "요즘 비트코인 시장은 열광하는 개인 투자자들에 비해 기관 투자자들 진입이 상대적으로 많아졌다는 점이 과거와 다르다"고 덧붙였다.
2018년 이후 급등락을 거듭해 `코인 낭인`까지 양산했던 비트코인이 올해 두드러진 인기를 끄는 배경은 크게 두가지다. 금 대체 투자 수요 증가, 차세대 결제 수단·시스템에 대한 업계 인식 변화다.
피델리티는 제도권 금융기관으로는 처음으로 올해 8월 비트코인 펀드를 출시했다. 세계 최대 암호화폐 투자사인 그레이스케일의 운용 자산은 최근 104억달러로 9월 대비 75% 증가했다. 경쟁사인 코인셰어스 운용 자산도 올해 150% 늘었다.
금은 안전자산으로 통하지만 정작 금값을 움직이는 변수가 불안정해졌다. 증시에서 거래되는 상장지수펀드(ETF)를 통한 단기 투자 수요가 빠르게 늘면서 금 시세도 금 ETF 시세 영향을 받게된 것이 대표적이다.
금은 전통적으로 인플레이션(물가 상승) 리스크 헷지 수단으로 통하지만 과거 경험에 비춰볼 때 생각보다 물가가 급등하지 않을 수 있다는 예상이 월가 등에서 나오고 있는 점도 금 투자 매력을 누르는 요인이다. 지난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미국 연방준비제도(Fed·연준)을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이 양적완화를 통해 `제로(0)금리` 정책을 폈지만 오히려 저물가 기조가 등장해 금값이 떨어진 적이 있기 때문이다.
초 저금리와 이에 따른 인플레 예상이 한창이던 2011년 8월 금값은 1온스당 1891.90달러를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찍었지만 이후 하락세를 타면서 2015년 말 1050달러로 떨어진 적이 있다. 지난 16일 월가 대형 투자은행(IB) 모건스탠리는 기존에 1온스 당 1950달러로 예상했던 내년 금값 전망치를 1825달러로 낮췄다.
|
||
비자카드의 알프레드 켈리 CEO는 21일 CNBC 인터뷰에서 "암호화폐는 전 세계 결제 시스템에서 눈여겨볼만한 발전 분야"라면서 "전쟁터는 늘 지역 시장 바깥에 있으며 암호화폐 네트워크는 사람들의 지불 방식을 빠르게 바꿀 것"이라고 말했다. 비자카드는 당국의 반(反)독점 조사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올해 1월 13일 핀테크 업체 플레이드를 53억달러(약 5조9800억원)에 인수하기로 한 바 있다. `카드없는 결제 시스템`을 내건 플레이드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(API)를 활용해 은행 계좌를 제3자에게 연결해주는 결제 지원 플랫폼 스타트업이다. 미국 `주식 매매 수수료 무료 어플리케이션(앱)` 로빈후드와 송금 앱 벤모,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등이 플레이드와 연결돼 있다.
지난달 21일 미국 온라인 결제업체 페이팔은 자사 플랫폼에서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를 매매할 수 있게 할 계획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.
이에 따라 페이팔로 결제할 수 있는 매장 2600만여 곳이 비트코인을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지난달 말 비트코인 시세가 한 차례 눈에 띄게 뛰었다.
|
||
[김인오 기자]
[ⓒ 매일경제 & mk.co.kr,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]
https://ift.tt/3fmalCy
비즈니스
0 Comments:
Post a Comment